━ ‘카톡 업뎃 논란’으로 본 온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10-04 00:18본문
캉카스백화점
━ ‘카톡 업뎃 논란’으로 본 온라인 서비스 개편 후폭풍 지난달 23일 카카오는 카카오톡(이하 ‘카톡’) 출시 15년 만에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 기존의 첫 화면에선 바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전화번호부 식의 친구 목록이 중심이었다. 이를 친구의 프로필 변경 내역을 최우선 노출하는 피드(타임라인) 중심으로 전환했다. 1분 내외 짧은 영상 콘텐트인 쇼트폼 노출도 확대했다. 소셜 미디어인 인스타그램과 유사한 형태다. 약 4930만 명(지난 2분기 월평균 이용자 기준)이 쓰는 ‘국민 모바일 메신저’의 야심찬 변신에도 시장은 평점 테러와 주가 하락 등 싸늘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래픽=정수경 기자 jung.suekyoung@joins.com 카카오가 카톡 개편에 나선 데는 경제적 측면, 즉 민간 기업의 지상과제인 이윤 창출에서 전환점이 필요했던 게 컸다. 카톡을 핵심 플랫폼으로 둔 카카오는 압도적 시장점유율에도 정작 재무제표 및 미래 기업가치와 직결되는 세부 지표에서 지난 수년간 사정이 급격히 악화했다. 앱 시장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카톡의 이용자 월평균 체류 시간은 2021년 7월 800분에서 올해 7월 709분으로 4년 사이 11.4% 줄었다. 인스타그램이 575분에서 989분으로 72% 늘어난 것과 대조된다. 그래픽=정수경 기자 jung.suekyoung@joins.com 10대 카톡 체류 시간, 인스타의 절반 관련 업계 관계자는 “이용자 체류 시간은 플랫폼이 수주하는 광고 숫자나 단가와 직결된다”며 “체류 시간이 늘어야 인공지능(AI) 등 다른 차세대 분야 투자를 늘려도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가 되는 건데 카카오는 이 지점에서 한계를 절감한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카카오의 영업이익률은 2022년 8.4%에서 2023년 6.1%, 지난해 5.9%로 하락했다. 이는 카톡에 신규 유입되는 10대 청소년이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카톡을 잘 이용하지 않는 세태와 관련이 깊다. 지난해 6월 기준 카톡의 10대 이용자 월간 체류 시간은 4821만 시간으로 인스타그램(9411만 시간)의 절반가량이다. 그래픽=정수경 기자 jung.suekyoung@joins.com지난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으로 촉발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 전쟁을 해결하겠다며 지난 9월 29일 '가자 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구상'('가자 종전 구상')을 내놓았습니다.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포함한 유럽 및 아랍 국가 정상들은 지지를 표했고,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은 하마스를 압박하는 중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구상에 담긴 총 20개항 중 트럼프 대통령이 그리는 가자지구의 최종 로드맵을 암시하는 세 가지의 주요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누가 가자지구를 통치하고 치안을 담당할 것인가. 둘째, 팔레스타인 자결권 및 국가 지위 언급. 셋재, 가자 경제 재건입니다. 2년 가까이 이어진 가자 전쟁은 이미 수많은 피해를 낳았습니다. 종전의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는 이번 '가자 종전 구상'은 전쟁 당사국인 이스라엘은 물론이고, 미국과 유럽, 많은 아랍국까지 주요국들의 중의가 그 어느때보다 폭넓게 모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꿈꾸는 가자지구의 미래,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한 지적, 전문가들이 내다보는 향후 전망까지 짚어봤습니다. 국제 이슈의 팩트는 기본, 맥락까지 전해드리는 딥빽. 지금 함께 보시죠. ※ 인터뷰 :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 00:00 2년 앞둔 가자 전쟁, 종전의 기로 01:03 트럼프 '가자 종전 구상' 주요 내용 3가지는? 02:00 ① 가자지구는 누가 통치할까: '팔레스타인 위원회', '평화위원회' 03:28 가자지구 치안은 누가 관리할까: '국제안정화군' 창설 04:24 ②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 이스라엘 반대 속 이례적 언급 05:56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과연 실현 가능할까 07:23 ③ 가자 경제 재건: "트럼프 경제 개발 계획(Trump economic development plan)" 08:46 트럼프 대통령의 오랜 '황금빛 재개발의 꿈'? 10:10 가자지구 주민들은 이제 떠나지 않아도 되나? 11:04 '가자 종전 구상' 꺼낸 결정적 배경, 전문가들의 분석은? 12:39 미국 국내 여론의 변화 추이와 이스라엘 여론 반응은? 15:26 하마스는 어떤 결정 내릴까 17:44 가자지구 피해 속 이번 구상안과 조속한 합의가 중요한 이유 19:24 마무리 (취재·구성 : 김혜영, 영상취재 : 장운석, 주용진, 영상편집 : 김복형, CG : 서현중, 이희문, 조승현, 자료조사 : 김채
캉카스백화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카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