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기관납품전문더조은 메인

NC문화재단-주한스위스대사관 다이얼로그뇌성마비 > 자유게시판

이벤트상품
  • 이벤트 상품 없음
Q menu
오늘본상품

오늘본상품 없음

TOP
DOWN

NC문화재단-주한스위스대사관 다이얼로그뇌성마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5-25 10:35

본문

NC문화재단-주한스위스대사관 다이얼로그뇌성마비 극복, 정유선 조지메이슨대 교수 강연뇌·컴퓨터 연결, 증강현실로 말 없이 의사소통게임으로 언어장애 치료…사생활 침해 우려도정유선 미국 조지메이슨대 교수가 21일 열린 NC문화재단-주한스위스대사관 다이얼로그에서 발표하고 있다./주한스위스대사관 “말을 하지 않으면, 우리는 소통하지 않는 걸까요?”지난 21일 서울 종로구의 NC문화재단에서 주한스위스대사관과 재단이 함께 개최한 ‘다이얼로그 기술로 확장하는 소통: 그 가능성과 도전’ 행사가 열렸다. 한국과 스위스의 연구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인간의 소통 능력을 더 확장할 과학기술을 소개하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하는 자리였다.이날 행사는 기조강연에 나선 정유선 미국 조지메이슨대 특수교육과 교수의 질문으로 시작됐다. 정 교수는 뇌성마비를 가진 한국 여성 최초로 해외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대학 교수로 임용된 인물이다. 2012년에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강의법으로 ‘최고 교수상’을 받기도 했다.정 교수는 질문에 이어 이색적인 실험을 제안했다. 그는 “지금부터 옆 사람에게 말없이 자신을 소개해 보자”고 제안했다. 1분 남짓 사람들은 손짓과 눈빛으로 각자를 소개했고, 조용한 웃음들이 오갔다. 말은 없었지만, 소통은 분명히 있었다.정 교수는 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을 소개했다. AAC는 말로 하지 않는 의사 표현 방법으로, 손짓이나 그림, 문자판, 스마트폰 앱(app, 응용프로그램) 등의 기술들이 있다. 그는 “하고 싶은 말을 정확히 떠올려도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 순간이 있다”며 “어떨 땐 철자를 하나하나 말하면, 상대가 단어를 유추해 주며 대화를 이어가기도 한다”고 말했다.그는 “초등학생 때는 ‘결합법칙’을 말하려다 기역(ㄱ) 발음이 어려워 좌절했었던 적도 있었지만, 박사과정 때 접한 AAC가 삶을 바꿨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기술은 사람을 위한 도구”라며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누구나 자신만의 방식으로 의미 있는 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의사소통 지원 기술NC문화재단-주한스위스대사관 다이얼로그뇌성마비 극복, 정유선 조지메이슨대 교수 강연뇌·컴퓨터 연결, 증강현실로 말 없이 의사소통게임으로 언어장애 치료…사생활 침해 우려도정유선 미국 조지메이슨대 교수가 21일 열린 NC문화재단-주한스위스대사관 다이얼로그에서 발표하고 있다./주한스위스대사관 “말을 하지 않으면, 우리는 소통하지 않는 걸까요?”지난 21일 서울 종로구의 NC문화재단에서 주한스위스대사관과 재단이 함께 개최한 ‘다이얼로그 기술로 확장하는 소통: 그 가능성과 도전’ 행사가 열렸다. 한국과 스위스의 연구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인간의 소통 능력을 더 확장할 과학기술을 소개하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하는 자리였다.이날 행사는 기조강연에 나선 정유선 미국 조지메이슨대 특수교육과 교수의 질문으로 시작됐다. 정 교수는 뇌성마비를 가진 한국 여성 최초로 해외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대학 교수로 임용된 인물이다. 2012년에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강의법으로 ‘최고 교수상’을 받기도 했다.정 교수는 질문에 이어 이색적인 실험을 제안했다. 그는 “지금부터 옆 사람에게 말없이 자신을 소개해 보자”고 제안했다. 1분 남짓 사람들은 손짓과 눈빛으로 각자를 소개했고, 조용한 웃음들이 오갔다. 말은 없었지만, 소통은 분명히 있었다.정 교수는 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을 소개했다. AAC는 말로 하지 않는 의사 표현 방법으로, 손짓이나 그림, 문자판, 스마트폰 앱(app, 응용프로그램) 등의 기술들이 있다. 그는 “하고 싶은 말을 정확히 떠올려도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 순간이 있다”며 “어떨 땐 철자를 하나하나 말하면, 상대가 단어를 유추해 주며 대화를 이어가기도 한다”고 말했다.그는 “초등학생 때는 ‘결합법칙’을 말하려다 기역(ㄱ) 발음이 어려워 좌절했었던 적도 있었지만, 박사과정 때 접한 AAC가 삶을 바꿨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기술은 사람을 위한 도구”라며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누구나 자신만의 방식으로 의미 있는 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의사소통 지원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가능성'을 주제로 패널토론이 진행되고 있다./주한스위스대사관 최근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등장했다. 정 교수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홀로렌즈 헤드셋를 이용한 ‘홀로ACC’를 예로 들었다. 증강현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